Table of contents
스튜디오에서 에이전트 만들기
이번 장에서는 코파일럿 스튜디오를 이용한 에이전트 개발을 체험하겠습니다.
사실 앞서에서 다른 에이전트 빌더와 크게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만, 근원적으로 에이전트 빌더는 개인이 내가 사용할 에이전트를 만드는 쪽이라면 코파일럿 스튜디오는 IT Pro와 시민개발자가 우리부서가 사용할, 우리회사가 사용할 앱을 만드는 환경을 제공하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코파일럿 스튜디오 접속
먼저 코파일럿 스튜디오로 이동해 주십시오. 브라우저를 이용해 https://copilotstudio.microsoft.com 에 접속하여 회사계정으로 로그인하시면 됩니다.
M365 코파일럿 에이전트 만들기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왼쪽 메뉴의 “에이전트”를 클릭하십시오.
오른쪽에 에이전트들의 목록이 펼쳐집니다. 여기에는 코파일럿 스튜디오를 이용해 만든 (나만의) 코파일럿과 M365 코파일럿이 같이 표시됩니다.
목록에서 컬러풀한 아이콘을 가지고 있는 “Copilot for Microsoft 365” 를 클릭하십시오.
이동하는 화면에서 상단의 “에이전트” 를 클릭하십시오.
여기에 M365 코파일럿을 위해 만들어진 에이전트 들의 목록이 표시됩니다. “+ 에이전트 추가” 버튼을 클릭해 주십시오.
에이전트 구성하기
이제 에이전트를 만들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하였습니다. 앞서의 과정에서 살펴본 코파일럿 에이전트 빌더와 비슷한 UI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름과 설명과 지침을 입력합니다.
설명:
자동차 매뉴얼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문의에 대응합니다.
지침:
- 당신은 지식으로 제공되는 자동차 매뉴얼의 내용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문의에 답변해야 합니다.
- 항상 신중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네, 맞습니다. 앞서 에이전트 빌더로 만든 자동차 매뉴얼 사이트를 연동하는 것과 같은 성격의 에이전트 입니다.
이번에는 시작프름프트도 몇개 넣어줍니다. 자동차와 관련하여 질문할 만한 것들을 생각해 넣어 보시기 바랍니다.
참조자료 추가하기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 참조 자료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아직은 쉐어포인트만 활용이 가능합니다. 향후 더 확대될 예정입니다.
앞서 과정에서 준비해 두었던 매뉴얼이 업로드된 쉐어포인트 사이트의 주소를 넣어줍니다. 그리고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사이트가 등록되면 아래로 이동하여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렇게 쉐어포인트 사이트가 지식으로 추가되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여러개의 쉐어포인트 사이트를 등록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만들기와 게시하기
기본적인 구성작업이 마무리 되면, 상단의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지금까지의 작업내용을 저장합니다.
에이전트가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에이전트를 실제로 코파일럿에서 사용하려면 게시해야 합니다. 상단의 “게시” 버튼을 클릭합니다.
게시와 관련한 팝업창이 뜨면 앱의 필수정보를 확인하고 “게시” 버튼을 클릭합니다. (향후 실제 에이전트를 개발할 때에는 필요내용을 적절하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에이전트를 게시중입니다.
에이전트 사용하며 테스트하기
게시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이 가용성 옵션 창이 뜹니다. 우리는 바로 에이전트를 테스트 하기 위해 링크공유를 사용할 것입니다.
링크공유 :: 앱의 딥링크 URL을 이용하여 바로 앱을 추가하고, 업데이트하고, 열 수 있도록 합니다.
내 팀원 및 공유 사용자에게 표시 :: 동료들과 같이 이 앱을 테스트 해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내 조직의 모든 사람에게 표시 :: 팀즈 관리자에게 앱의 승인을 요청합니다. 승인되면 회사 구성원들이 쉽게 이 앱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zip으로 다운로드 :: 팀즈 앱 패키지로 빌드된 zip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팀즈의 커스텀 앱 업로드 기능으로 추가하여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복사” 버튼을 클릭하여 URL 을 클립보드에 복사합니다.
브라우저에 주소를 붙여넣고 실행하면, 앱 상세 내용을 볼 수 있는 창이 뜹니다. 여기에서 “Add” 또는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앱이 추가 되고 있습니다.
추가가 끝나면 자동으로 해당 에이전트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여러가지 질의를 해보면서 테스트 해보시면 좋습니다.